summ의 블로그

공분산과 상관계수 본문

통계학개론

공분산과 상관계수

summ._ 2023. 8. 22. 22:58

공분산  / 상관계수

 

이전 게시글에서 두 확률변수의 결합분포에 관해 알아보았다.

이번 게시글에서는 두 확률변수에 관한 공분산과 상관계수를 정의해보려고 한다. 

 

 

두 확률변수 함수의 기댓값 

 

두 확률변수가 이산형일 때, 결합확률질량함수 p(x, y) 를 가진다.

임의의 함수 g에 관해 기댓값은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. 

 

 

두 확률변수가 연속형일 때, 결합확률밀도함수 f(x, y) 를 가진다. 기댓값은 다음과 같다. 

 

따라서 임의의 실수 a,b 함수 g,h 에 대해

E(a * g(X, Y) + b * h(X, Y)) = a * E(g(X, Y)) + b * E(h(X, Y)) 임을 정의할 수 있다. 

 

 

 

공분산 

 

공분산 (covariance) 은 두 확률변수 X, Y 의 선형관계를 나타내는 양이라고 정의한다. 

 

각각의 확률변수에서 각각의 기댓값을 뺀 값을 통해 구할 수 있다. 

만약, X Y가 기댓값보다 큰 값을 갖는다면 위의 식은 양수의 값을 갖는다. 

반대로 기댓값보다 작은 값을 갖는ㄴ다면 위의 식은 음수의 값을 갖는다. 

 

이러한 공분산 값을 통해 두 확률변수의 관계와 확률분포의 기댓값을 파악하고, 산점도를 그려 분포의 형태를 이용하여 선형관계를 측정할 수 있다. 

 

 

공분산을 구하는 식은 기댓값 성질을 통하여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. 

 

 

두 확률변수가 서로 독립이면, 공분산의 값은 0이다. 

 

 

 

상관계수 

 

상관계수 (correlation coefficient) 는 두 확률변수의 표준편차가 모두 양수의 값을 가질 때, 확률변수를 표준화하여 구한 값으로 두 확률변수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. 

 

 

 

값은 항상 -1 ~ 1을 가지며, 확률분포가 직선의 형태에 가깝게 나타날수록 1에 가깝다.

양수값을 가지면 양의 선형관계, 음수값을 가지면 음의 선형관계, 0이면 선형관계가 없는 것이다. 

 

 

 

 

 

 

성질 

 

두 확률변수 X, Y 와 임의의 실수 a, b, c, d에 대해 다음과 같다. 

또한, ac의 값이 0이 아니라면 

식이 성립한다. 

 

마지막으로, 분산과 공분산의 정의 비교에 따라 

Cov(X,X)=V(X) 이기에 다음의 식이 성립한다.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/* 틀린 것이 있다면, 댓글을 남겨주세요

출처: 4판 통계학입문 [이해와 응용

*/

'통계학개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표본 평균과 중심극한정리  (0) 2023.08.24
표본추출과 표본통계량  (0) 2023.08.23
확률변수의 결합분포  (0) 2023.08.18
연속확률분포 - 감마분포  (0) 2023.08.13
연속확률분포 - 지수분포  (0) 2023.08.1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