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yeonny의 블로그

IT 기초 본문

IT

IT 기초

syeonny 2024. 11. 26. 12:00
반응형

 

241125

 

 

서버 

서버 클라이언트 관계 

 

서버: 네트워크를 통해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정보를 처리하여 클라이언트에게 결과를 제공

클라이언트: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에 접속해 제공된 정보를 확인 

 

서버 종류 

 

  • 웹: 정적 데이터
    • 필요, 요청 →  탐색 →  응답 →  조회 →  내용 제공 →  기록
  • 애플리케이션: 동적 데이터
    • 필요, 요청 →  탐색 →  요청 →  확인 →  기록 →  전달 →  응답 →  기록
  • DB: 앱 정보 저장 및 운영 관리  
  • 리버스 프록시: 클라이언트 요청 처리할 수 있는 앱 서버 전달 (ex 티켓팅)
  • 포워드 프록시: 클라이언트 요청 대신 처리. 미리 데이터를 저장한 뒤 요청이 존재하면 전달 (캐시)

 

서버 HW / SW 

 

서버 하드웨어 폼펙터: 하드웨어 or 하드웨어 부품의 크기, 모양, 실제 사양 등 구조화된 형태 

랙 서버: 밀어 넣는 형태의 서버 

4*u

 

u? 장비의 높이 단위 

 

서버 하드웨어 유형:

  • 랙 서버: 데이터 센터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슬림형 서버
  • 블레이드 서버: 고밀도 환경에 적합한 모듈형 서버
  • 타워 서버: 독립형 서버로 소규모 환경에 적합
  • 메인프레임(Mainframe): 대규모 데이터 처리용
  • x86 서버: 범용 서버로 다양한 OS를 실행 가능

서버 소프트웨어:

  • 운영 체제(OS):
    • Windows Server, Linux (예: Ubuntu, CentOS)
  • 유형별 소프트웨어:
    • 웹 서버(예: Apache, Nginx)
    • 애플리케이션 서버(예: Tomcat, WebLogic)
    • 데이터베이스 서버(예: MySQL, PostgreSQL)

 

 

네트워크

net + work network 단말기를 메인 프레임과 그물처럼 연결하여 데이터를 주고받는 시스템 

 

네트워크 교환 방식 

  • 회선 교환 방식: 1:1로 연결된 데이터 통로를 만들고 교환이 완료될 때까지 회선을 계속 사용 
  • 패킷 교환 방식: 데이터를 패킷으로 나누고 *헤더를 붙여 교환. 필요한 만큼 회선을 이용, 다른 사용자도 함께 사용 가능. 패킷이 손상되면 손상된 패킷만 다시 보냄 

*헤더? 포트 번호, 순서 번호, 위치, ... 

 

프로토콜: 패킷 전송 규칙 

  • HTTP: 웹 서버 웹 브라우저 패킷 교환 프로토콜 
  • TCP/IP: 연결형 프로토콜 
  • UDP: 비연결형 프로토콜 

계층: 송신 수신 사이에서 데이터는 계층별로 처리가 완료되면 다른 계층으로 전달하며 처리 

 

2가지 계층 

 

  • TCP/IP  
  • OSI 7
    • 1계층 물리: 서버를 네트워크에 연결 / 허브
    • 2계층 데이터: MAC Address / 스위치
    • 3계층 네트워크: IP Address / 라우터 
    • 4계층 전송: TCP/UDP 전송 프로토콜 
    • 5계층 세션
    • 6계층 표현
    • 7계층 응용 

주로 사용하는 OSI 7계층은 5계층 모델

L1, L2, L3, L4, L7 

 

네트워크 방식 

  • 브로드캐스트: 연결된 모든 장치에 데이터 전송 
  • 유니캐스트: 1:1연결하여 데이터 전송 
  • 멀티캐스트: 특정 그룹의 여러 수신자에게 데이터 전송 
  • 애니캐스트: 가장 가까운 장치에 데이터 전송  

 

네트워크 주요 개념 

 

MAC Address: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하는 물리적인 주소. NIC에 고유하게 할당된 물리적인 주소 

  •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장치를 식별하는 데 사용
  •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송신자와 수신자 구분

Switch: 단말기가 보낸 패킷의 헤더에 있는 MAC Address 를 보고 같은 네트워크의 다른 단말기로 패킷 전송 

동일 네트워크(브로드캐스트 도메인) 내의 장치 간 통신을 관리

 

라우터: 단말기가 보낸 패킷 헤더에 있는 아이피 주소를 기반으로 다른 네트워크의 다른 단말기로 패킷 전송 

패킷 수신 → 라우팅 테이블 확인 → 포워딩 (출력 포트로 전달) 

라우팅: 네트워크 간의 연결 상태와 경로 관리

 

TCP: 연결형 서비스 (패킷교환) 

UDP: 비연결형 서비스 (데이터그램)


 

로드밸런싱: 들어오는 네트워크 트래픽을 여러 서버로 균등하거나 효율적으로 분산,  서비스의 안정성과 성능을 유지

 

 

방화벽: 네트워크 보안을 위해 허용하거나 차단할 트래픽을 제어

  • blacklist: 차단할 리스트 생성 후 리스트의 특정 트래픽 차단, 나머지는 통과 (default 허용)
  • whitelist: 통과할 리스트 생성 후 리스트의 특정 트래픽 통과, 나머지는 차단 (default 차단)

 

네트워크 형태 

  • LAN: 근거리 통신망 
  • WAN: 원거리 통신망 
  • DMZ: 외부 네트워크 내부 네트워크 중간 지점. 내부에서는 보이나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음 
  • VPN: 가상의 전용선을 만들어 통신 

 

 

 

 

https://westahn.com/osi%EB%AA%A8%EB%8D%B8/

반응형

'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자료 정리 1  (1) 2025.04.17
MVC  (0) 2024.12.24
객체지향 기초  (0) 2024.12.04
IT 기초 (2)  (0) 2024.11.26
버전관리 시스템  (0) 2024.09.22